도서소개/인사, 조직

[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인사노무관리(김태철 저)

창민사 2025. 2. 13. 16:46

 

 

 

 

 2025년 2월 초판 발행 [강의안 있음]  

    국배판 변형 양장 564면 /

    정가 32,000원

    ISBN 979-11-92272-29-0

 


[ 저자 소개 ]

김태철(안산대학교 회계세무학과 겸임교수, 공인노무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졸업(법학 석사/노동법 전공)

() 노무법인 송민의 대표 노무사(13), 인사노무 자문, 강의, 노동사건, 컨설팅 등

       한국고용노동교육원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 전문강사

      경기도 마을노무사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민사조정위원

      경기도 공익활동 지원센터 자문위원

      수원지방검찰청 안산지청 형사조정위원

      경기도 공동주택 관리지원 자문단 자문위원

      경기지방노동위원회 국선노무사

      산업인력공단 일·학습병행 전문 노무사

     경기도교육청 직업계고 현장실습 지원단

     시흥산업진흥원 소공인 컨설턴트


[ 책소개 ]

  이 책은 저자가 지난 20여 년간 공인노무사로 일하면서 기업자문과 상담, 컨설팅, 사건처리, 강의 등을 통해서 고민하고 해결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입사부터 퇴사까지의 전체적인 흐름에 따라 주제를 정하고, 주제에 해당하는 근거 법조문을 제시한 후 이론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관련 이론 내용에 해당하는 실무상 판례 및 행정해석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본문 내용을 표로 요약하여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토록 하였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해당 법률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내용과 관련한 부분의 법률을 본문 또는 각주에 표시하여 별도의 수고로움 없이 이 책만으로 충분하다.

  둘째로, 법원의 판례와 고용노동부의 지침·고시·행정해석을 제시하였다. 이론과 관련한 판례 및 행정해석 등을 통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로, 도표로 정리하였다. 문장으로 기술한 내용을 표로 정리하여 쉽고 간편하게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 차 례 ]

1장 인사노무관리 및 채용관리

  제1절 인사노무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제2절 인사노무관리의 내용

  제3절 채용관리

 

2장 근로기준법 적용관리

  제1절 근로기준법의 적용

  제2절 상시근로자 수

  제3절 사업 또는 사업장

 

3장 근로계약관리

  제1절 근로계약

  제2절 근로계약의 당사자

  제3절 근로조건의 보장과 준수

  제4절 근로계약의 체결

  제5절 금지되는 근로조건

 

4장 취업규칙관리

  제1절 개 요

  제2절 취업규칙의 작성 및 신고

  제3절 취업규칙의 작성 및 변경 절차

  제4절 취업규칙과 법령, 단체협약, 근로계약의 관계

 

5장 근로시간관리

  제1절 근로시간의 개요

  제2절 연장근로·휴일근로·야간근로

  제3절 유연근로제도

 

6장 휴식관리

  제1절 휴식제도의 개요

  제2절 휴게시간

  제3절 휴 일

  제4절 휴 가

 

7장 임금관리

  제1절 개 요

  제2절 통상임금

  제3절 평균임금

  제4절 최저임금

  제5절 임금의 지급

  제6절 임금의 보호

 

8장 인사권관리

  제1절 인사이동

  제2절 징 계

  제3절 해고의 제한

  제4절 부당한 인사권에 대한 구제

 

9장 퇴직관리

  제1절 근로계약의 종료

  제2절 당사자 의사표시에 따른 근로계약 종료

  제3절 기한도래에 따른 근로계약 종료

  제4절 당사자 소멸에 따른 근로계약 종료

  제5절 근로계약 종료와 인사노무관리

 

10장 퇴직급여관리

  제1절 퇴직급여제도의 개요

  제2절 퇴직금제도

  제3절 퇴직연금제도의 개요

  제4절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

  제5절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

  제6절 중소기업 퇴직연금 기금제도

  제7절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11장 산업안전관리

  제1절 개 요

  제2절 산업안전과 보건

  제3절 산업재해와 보상

  제4절 직장 내 괴롭힘 금지

  제5절 직장 내 성희롱 금지

 

12장 취약근로자 관리

  제1절 여성근로자 및 연소근로자

  제2절 기간제근로자 및 단시간근로자

  제3절 파견근로자

  제4절 장애인근로자 및 고령근로자

  제5절 외국인근로자

  제6절 일·가정 양립 근로자